위는 고려신용정보 주식에 대한 네이버 기업실적분석 이미지 입니다.
주식을 모르거나 처음 시작한 사람들은 어떻게 봐야하고 뭘 봐야하는지 모르는데 저도 처음에는 고생한 기억이 있어서 한번 작성해 봅니다.
저도 정확하게 모르는 부분이 있는데 이번 작성을 통해 배우면서 작성하고자 합니다.
가장 상단에 있는
IFRS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2011년 부터 도입된 국제회계기준을 말합니다.
그 이전까지는 K-GAAP을 이용하였습니다. 저 설명하면 길어지니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IFRS 별도 : 고려신용정보 회사만의 재무제표를 말합니다. 고려신용정보의 자회사를 포함하지 않는 재무제표입니다.
IFRS 연결 : 고려신용정보 회사와 자회사까지 포함한 재무제표를 말합니다. 고려신용정보는 2019년에
Happy Dream Financial Loan Co., Ltd. 라는 자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 그래서 보시면 2019년 부터 IFRS 연결로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총 수익을 말합니다. 1000원 짜리 10개를 팔면 10만원을 판매하게 되는데 이게 매출액입니다.
매출액은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의 비용에 대해서는 들어가지 않는 순수한 판매액입니다.
영업이익은 영업활동을 통해 순순하게 남은 이익을 말합니다. 예로 매출액이 10만원인데 거기에 들어간 원가가 4만원 판매 관리지가 2만원이 빠지면 10만원 - 4만원 - 2만원 해서 남은 금액 4만원이 영업이익인 것입니다.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수익과 영업외비용 그리고 특별이익, 특별손실 법인세를 통해 구해진 이익입니다.
공식은 순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특별이익 - 특별손실) - 법인세 로써 말 그대로 회사가 당기 동안 모든 수익과 모든 비용을 나타내는 금액인 것입니다.
그 다음 영업이익률입니다.
영업이익률은 영업이익 / 매출액 입니다 .2018년 고려신용정보로 했을 경우 73/1035 = 0.0705으로 나옵니다. 백분율로 하면 7.05%로 나타납니다.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네이버에서 나타내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반올림이 된 상태라서 정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순이익률
순이익률은 당기순이익 / 매출액입니다. 2018년 고려신용정보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으로 할경우 0.0454로 나옵니다 백분율로하면 4.54%입니다. 소수점 두번째를 제외하면 일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죠?
그 다음 ROE 입니다. (자기자본이익율 Return On Equiry)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입니다.
자기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자본을 합친 금액입니다. 네이버 간편에서 자기자본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설명은 넘어가고 ROE가 높은 기업일 수록 투자한 금액 대비 이익을 잘 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음으로 부채비율입니다.
부채비율은 일단 공식으로 먼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부채비율 = 자본총계 / 부채총계 *100 입니다.
말 그대로 자본과 부채의 비율을 말하는 거로써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에 대비 부채가 얼마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척도 입니다.
기본적으로 부채가 100% 대의 비율의 기업을 보통의 기업으로 보고 있으며 200% 가 넘을 경우 위험한 기업으로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려신용정보의 경우 141%로써 보통의 기업 수준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특히 채권추심 기업인 고려신용정보는 고객들의 부채를 가져옴으로 매년 부채 비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그 만큼 현재 대한민국 내에 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말이며 이것은 고려신용정보의 고객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다음 당좌비율입니다.
당좌비율이란 (당좌자산/유동부채) * 100%를 의미합니다.
당좌자산이란 쉽게 말해 1년 이내로 판매과정이 없이 현금화 할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그리고 유동부채란 당좌자산의 반대 의미로 1년 이내 갚아야할 부채라는 말입니다.
즉 당좌비율이란 1년 이내 현금화 할 수 있는 돈으로 1년 이내 갚아야할 부채를 얼마나 갚을 수 있냐라는 것 입니다.
당좌자산은 유동자산 중 판매없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함으로 이 당좌비율은 엄청 보수적인 비율입니다.
(유동자산은 당좌자산의 포괄적인 단어로 1년이내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그리고 유보율
유보율은 (잉여금/납입자본금) * 100%
잉여금이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획득한 이익과 투자를 통해 획득한 이익의 합계입니다.
납입자본금이란 액면가 * 상장주식수를 말합니다.
액면가액이란 최초 주식 발급시 지정된 금액으로 따라 납입자본금이란 최초로 기업에 투자된 돈이란 의미입니다.
즉 유보율이란 현재 최초로 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이익을 통해 기업에 쌓여 있는 금액 비율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유보율이란 높으면 높을 수록 기업에 돈이 많다는 애기입니다.
그렇다면 많으면 좋냐라고 말씀하시면 너무 많다는 것은 투자를 안하고 이익을 계속 쌓아올리고 있다는 말이 되어서 적정 수준 이상의 경우 성장성이 다소 낮을 수 있음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200% 안팎을 추천하지만 우리나라 대기업의 평균 유보율은 1500%가 넘는다고 하니 이것만으로는 주식을 파악하기는 힘들거 같습니다.
다음으로 EPS입니다.
EPS란 당기순이익 / 총주식수 입니다
주식 1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
PER은 주가 / 주당순이익(EPS)를 의미합니다.
주가가 주당순이익(EPS)의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가?
즉 이익에 비해 주가가 얼마 정도인지 나타내는 척도 입니다.
그래서 PER는 대체적으로 10이하의 경우 추천을 하고 있습니다.
예로 들면 고려신용정보가 현재 주가가 6940일 떄 내가 구입을 하였고 EPS가 720이 고정된다고 했을 경우 9.6년이면 기업이 이익을 나의 투자 금액를 회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PER가 올라갈 수록 투자금 회수가 길어지고 그만큼 주가 대비 수익이 적다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요즘 테슬라의 경우 PER가 1200이 되는 등 고부가치 주에서는 통용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다음 BPS 입니다.
주당순자산을 의미하며 공식은 순자산 / 총주식수 입니다.
주식 1주당 순자산이 얼마인지를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 폐업할 경우 주주들에게 기업의 자산을 환원할 경우 1주당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BPS가 높다는 것은 그 만큼 기업의 자산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BR
주가순자산비율(PBR)을 의미하며 공식은 주가 / BPS(주가순자산) 입니다.
현재 주가가 BPS의 몇배인지를 나타내줍니다.
PBR가 1 미만이라면 폐업할 경우 주주에게 환원될 금액은 주가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즉 저평가가 되고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배당금에 대해서 입니다
주당배당금 즉 1주당 배당금을 나타냅니다.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12월에 배당락일을 통해 4월에 한번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예로 들어본 고려신용정보의 경우 2020년 12월 배당락일에 1주를 가지고 있었다면 2021년 4월에 275원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시가배당률
시가 배당률이란 배당금 / 주가 *100 로써 주가 대비 얼만큼의 비율로 배당을 주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지금 2020년 12월에 고려신용정보를 구매했다면 4.61%의 배당금을 지급 받았다는 말입니다. 요즘 적금, 예금 3% 미만인 것을 생각하면 은행 예,적금보다 높은 것을 알수 있습니다. (모든 기업이 이렇게 높은 비율의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은 아님니다 예시로 현대차의 경우 2020년 기준 1.56%를 지급했으며 LG생활건강의 경우 0.68%를 지급하였습니다)
그리고 대망의 마지막 배당성향입니다
배당성향은
주가 배당금 / 주당순이익 입니다.
말 그대로 1주당 획득한 이익이 배당금으로 얼마나 지급되였냐를 나타내줍니다.
2020년도 기준으로 보았을 경우 EPS의 경우 720원이고 배당금은 275원입니다. 275 / 720원으로 계산할 경우
0.3819 즉 38.19%가 나옵니다. 음 근데 기업실적분석 표에는 37.14%가 나오네요.. 이 부분은 저도 더욱 공부해서 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렇게 네이버 증권 사이트 간편 기업실적분석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모두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F(폐쇄형 펀드) (0) | 2021.07.11 |
---|---|
ETF란? (인덱스, 액티브, 패시브, 수수료) (0) | 2021.05.11 |
미국 미디어 주식 (컴캐스트) (0) | 2021.04.28 |
미국 미디어 주식 (디즈니) (0) | 2021.04.25 |